• HOME
  • JOIN
  • SITEMAP
  • ENGLISH
     无人机,        
무인항공  drone SMT Inc. 
로봇항공기센터 새창 바로가기
, RPAV , 국제드론사관학교
    KOREA UAV 무인항공기센터 William J.Park's UAS Information Center
    용어의 정의 및 영문 용어의 변천(기술적 발전 단계)
    무인항공기란 무엇인가?
    한글로 무인항공기로 표현되는 용어는 아래의 설명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문 표현이 존재하고 있다.

    무인항공기 시스템(드론, UAV System, UAS)  :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Remote piloted),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auto-piloted) 또는 반자동(Semi-auto-piloted)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 탑재하여 자체 환경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지상통제장비(GCS: Ground Control Station/System) 및 통신장비(Data link) 지원장비(Support Equipments) 등의 전체 시스템을 통칭한다. 한글 용어는 무인항공기로 변화가 없었지만, 영문 용어는 기술의 진보 단계에 따라 변경해서 불리어져 왔다.

    Drone (1970 년대 이전 ) : 초기에 이륙 또는 발사 시킨 후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찰 지역까지 비행한 후 복귀된 비행체에서 촬영된 필름 등을 회수하는 방식의 무인비행체 . 최근에 무인항공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미국에서 다시 사용하고 있다 . 한국에서는 멀티콥터를 주로 지칭하는 용어로 잘 못 인식되고 있다


    RPV(Remote Piloted Vehicle) (1980 년대 ) : 지상에서 무선통신으로 원격조종 비행하는 무인비행체


    UAV(Unmanned/Uninhabited/ Unhumanized Aerial Vehicle System) (1990 년대 ) : / 외부조종사 , 탑재장비 운용관이 동시 편성되어 , 실시간 비행체 및 임무지역 상황을 지상통제소에서 원격 모니터링하며 운용하는 무인항공기시스템


    UAS(Unmanned Aircraft System) (2000 년대 ) : 무인항공기가 일정하게 한정된 공역에서의 비행뿐만 아니라 민간 공역에 진입하게 됨에 따라 , Vehicle 이 아닌 Aircraft 로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항공기임을 강조하는 용어


    RPAV(Remote Piloted Air/Aerial Vehicle) : 2011 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새로 쓰이기 시작한 용어 .


    RPAS(Remote Piloted Aircraft System) : 국제민간항공기구 (ICAO) 에서 공식 용어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용어 . 비행체만을 칭할 때는 RPA(Remote Piloted Aircraft / Aerial vehicle) 라고 하고 , 통제시스템을 지칭할 때는 RPS(Remote Piloting Station) 라고 한다 .


    Robot Aircraft : 지상의 로봇 시스템과 같은 개념에서 비행하는 로봇의 의미에서 사용되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