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JOIN
  • SITEMAP
  • ENGLISH
     无人机,        
무인항공  drone SMT Inc. 
로봇항공기센터 새창 바로가기
, RPAV , 국제드론사관학교
    KOREA UAV 무인항공기센터 William J.Park's UAS Information Center

    1991~2002, 송골매(비조, Night Intruder 300) 개발 이야기

      자동비행장치를 탑재하는 무인항공기 시스템으로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은 1991년 대우중공업(현,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국방과학연구소에서 2년간의 탐색 개발을 시작한 당시의 <도요새> 무인정찰기 사업이라 할 수 있다. 1993년에 첫 비행시험을 실시하여 4년간의 실용개발에 착수하였다. 

      미국 AAI사로부터 상당부분의 기술도입을 하여 개발을 진행하였으나, 많은 기술적 어려움들을 겪으면서 최초 1999년 배치 예정시한을 넘겨 2002에서 비로서 군의 요구조건을 맞출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이 완료되었다. 이는 <비조>란 이름으로 명명되다가 대외적으로 <송골매>로 군에 배치가 되기 시작하였고, 또한 해외 수출을 위해 영문으로 이라 명명되었다. 하지만, 해외 수출은 여러가지 이유로 성사되지 못하였는데, 특히 연구개발사업의 추가예산 배정 한계성 맞물려 추가적인 개발의 지연으로 인해, 이스라엘, 미국 등 선진국들의 빠른 성능개량 및 새로운 장비의 출시에 비해 가격대비 성능면에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비조>는 국내 자체 기술이 전무하던 시기에 개발이 시작되어, 10년간 50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이미 개발 완료되어 미군에 배치되고 있던 이스라엘/미국 , 의 무인기 기술을 도입을 위한 AAI사와의 기술협력 등에 의해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 사업은 사실상 단순히 한 사업으로 한정된 것이로 보기보다는 이 후 한국 무인항공기 개발 사에 있어서 막대한 인적, 기술적 인프라를 확보했다는 것에 더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당시 개발 사업에 참여했던 많은 사람들이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국방과학연구소를 퇴직하여 유콘시스템, 파인텔레콤 등과 같은 국방벤처사업을 설립하기도 하고,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 영입되어 스마트무인기개발사업 등과 같은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이 후 국가 무인기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각 대학의 교수진으로 진출하여 무인항공기 관련 인력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군에서 실제적으로 무인항공기를 운용하다가 전역한 전문인력이 설립한 무성항공, 무인항공센터 등에서 파생된 사업분야 확대와 함게, 한국의 무인항공기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사업적, 기술적, 인적 인프라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에피소드

    1990년대 당시 소기업이었던 미국의 AAI사는 한국의 <비조> 개발사업과 한국 해군의 도입으로 사세를 확장하는 등, AAI사가 현재 세계적인 무인항공기 선두기업으로 성장함에 있어 한국이 절대적인 기여를 했다는 후문이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