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JOIN
  • SITEMAP
  • ENGLISH
     无人机,        
무인항공  drone SMT Inc. 
로봇항공기센터 새창 바로가기
, RPAV , 국제드론사관학교
    KOREA UAV 무인항공기센터 William J.Park's UAS Information Center

    활용 분야

        무인항공기는 3D(Danger, Dirty, Dull) 분야의 유인항공기 임무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 및 운용이 시작되었는데, 정찰/감시 무인항공기가 가장 먼저 운용되기 시작한 것은 이스라엘이나 미국의 군 등의 정보기관에서 정찰/감시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아군 지역을 벗어난 적지역에서 비행해야하는 위험함과 장시간 좁은 공간에서 조종을 해야하는 지루함 등을 해소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코소보, 걸프전 등 2000년 이전의 전장에서의 무인항공기의 활약상은 이미 보편화된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어 더이상 논하지 않으려 한다. 최근의 아프카니스탄, 이라크 등의 전장 현장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여준 무인항공기는 이제 군의 무기체계에서 필수 장비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군수용 무인항공기의 발전과 더불어 무인항공기의 유용성이 민간에도 폭넓게 인식이 확산되면서, 민수용 무인항공기의 활용이 대두되고 있어 멀지 않은 시기에 민수 무인항공기 시장이 군수 무인항공기 시장을 넘어서는 것이 대세로 예상되어 진다.
    하지만, 무인항공기에 대한 장미빛 예측과는 달리 무인항공기 시장은 그렇게 급속도로 커지지는 않고 있다. 군수용 무인항공기 도입이 막대한 예산이 필요함과 동시에 이러한 큰 예산을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자국의 자체 개발에 투자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도입 시기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또한 장비의 특성상 첨단기술 유출 및 자체 정보력 운용의 노출을 꺼리는 선진국들의 미온적인 자세도 시장 성장을 더디게 하는 한 요소가 되고 있다.

       무인항공기의 활용이 확대되기 위해 해소되어야할 또 하나의 장애는 공중공간의 사용이다. 유인항공기가 비행하고 있는 공역에서의 무인항공기 비행은 유인항공기와 유사한 안전성과 비행절차의 준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것에 대한 기술적 향상이 아직 이루어져야 하는 것과, 유무인기가 같은 공간에서 운용되기 위한 제도적 정비도 아직 미비된 상황이다.

       무인항공기의 활용분야는 고비용의 유인항공기의 능력을 대체하는 것과 함께 유인항공기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분야까지 폭넓게 운용 되고 있다. 전투능력을 가진 무인전투기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모든 정보들이 사용처에 전달되는 장점과 적의 레이더등의 탐지 능력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의 하나로서 무인항공기의 적절한 활용은 장차전에 있어 전장의 승패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전망이다. 또한, 민간 분야에서도 유인항공기의 고비용 때문에 활용하지 못했던 각종 분야에서 폭넓게 개발 사용될 전망이다.
    * 무인항공기 보유 현황 종합(Link to  Drone War)
    활용 분야
    군사분야 민간분야

    실시간 정찰(지역, 선, 점 표적의 정찰)

    목표 탐색 / 식별

    포병 화력유도

    전투 피해 평가

    해상 / 해안 감시

    지뢰 탐지

    전자전 수행 (기만,공격,방어)

    적 레이더 교란/ 파괴

    무인 공중 전투

    무인 폭격 현황 종합(Link to Drone War)  

    해안 상륙 작전 지원

    항공 기동로 개척

    국경 순찰

    지형 및 시설물 공중 촬영

    영화/방송공중 촬영

    산불 / 산림 감시

    해안 / 선박 감시

    범죄 색출 / 추적

    방제 / 방역

    기상 자료 수집

    재해 예방

    통신 중계

    환경 감시

    재난 구조